제6절 주당순이익 계산
(1) 주당순이익의 의의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유통주식주(보통주)로 나눈 금액으로서 기업의 수익력을 나타내는 지수로 투자자인 보통주입장에서 기업의 배당성향과 주가수준을 판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주당순이익은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에 주기하고 그 계산근거를 주석으로 기재하여야한다.
①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유통주식수(보통주식)
② 주당순이익의 활용 : 기업의 배당성향과 주가수준을 판단하는데 기초자료가 된다.
③ 기업회계기준 주당순이익 산정방법
a 기본공식 : 보동주 당기순이익(손실) ÷ 가중평균발행보통주식수
b 보통주 당기순이익 : 총 당기순이익 - 우선주 배당금
c 발행보통주식수 계산(유통보통주식수)
i. 총발행 주식수 - 우선주식수 : 발행된 총 주식수에서 우선주식수를 공제한다.
ii. 보통주 주식수 - 자기주식 : 취득시점 이후부터 매각시점까지의 기간동안 발행보통 주식수에 차감
iii. 보통주 주식수 + 무상증자, 주식배당, 무상증자, 주식배당, 주식분할, 주식병합시는 당기 중에 실시된 경우에는 기초에 실시된 것으로 간주하여 발행보통주식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준다.
iv. 보통주 주식수 + 유상증 : 발행일을 기준으로 가중평균한다.
v. 보통주 주식수 + 전환우선주, 전환사채가 당기 중에 보통주로 전환된 경우에는 기초에 전환된 것으로 간주하고 당기 중에 발행된 전환사채가 당기 중에 보통주로 전환된 경우에는 전환사채의 발행일에 전환된 것으로 간주한다.
(2) 주당순이익의 유용성
주당순이익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수치로서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보다 더 유용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① 기업의 수익력을 나타내므로 경영자의 경영성과를 기간별 또는 기업 간에 비교 ․ 판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② 기업의 배당성향을 알 수 있게 한다.
③ 특정기업의 주가수익률을 계산하여 주가수준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3) 주당순이익의 한계
① 주당 순이익은 과거의 수치로 계산되므로 기업의 미래수익력, 주가변동에 관련된 의사결정에 한계가 있다.
② 기업의 업종특성이나 위험에 따른 질적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
③ 기업의 수익력이 기업규모와 자본구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시리즈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 ․ 비용의 인식기준 (0) | 2014.01.18 |
---|---|
수익 비용의 개념과 분류 (0) | 2014.01.17 |
기타 자본요소 (0) | 2014.01.06 |
주식회사의 손익거래 (0) | 2014.01.02 |
주식의 재취득 (0) | 2014.01.01 |